빌트 2 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트 2 혜성은 1978년 파울 빌트에 의해 발견된 혜성이다. 이 혜성은 1974년 목성에 근접하면서 궤도가 변화하여 공전 주기가 40년에서 약 6년으로 단축되었다. 빌트 2 혜성은 화성 궤도 부근을 근일점으로, 목성 궤도 부근을 원일점으로 하는 목성족 혜성이다. NASA의 스타더스트 탐사선이 이 혜성을 탐사하여 핵의 물리적 특성과 표면 지형을 밝혀냈으며, 혜성에서 채취한 샘플 분석을 통해 유기물, 결정 규산염, 그리고 물의 존재 증거를 발견했다. 또한, 혜성 먼지에서 태양계 밖에서 온 성간 먼지를 확인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발견한 천체 - 카론 (위성)
카론은 1978년 발견된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으로, 명왕성과 질량 중심을 공전하며,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에 의해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과 과거 지하 해양 존재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왜행성 분류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명왕성 위성으로 분류된다. - 1978년 발견한 천체 - BAT99-98
BAT99-98은 대마젤란 은하에 위치한 울프-레이에별로, 태양 질량의 약 25배, 광도는 태양의 250만 배에 달하며, 초신성이나 감마선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질량 손실이 큰 별이다. - 우주선이 방문한 혜성 - 핼리 혜성
핼리 혜성은 약 76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는 주기 혜성으로, 기원전 240년경 최초 관측 이후 뉴턴의 법칙으로 주기성이 예측되었고, 1910년과 1986년에 근접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핵이 태양 접근 시 코마와 꼬리를 형성한다. - 우주선이 방문한 혜성 - 보렐리 혜성
보렐리 혜성은 1904년에 발견된 주기 혜성으로, 약 6.8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2001년 딥 스페이스 1호 탐사선이 핵 사진을 전송했는데, 핵은 8km x 4km x 4km 크기에 알베도가 2.2%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우주선이 방문한 소행성체 - 433 에로스
1898년 카를 구스타프 비트가 발견한 433 에로스는 그리스 신화의 사랑의 신 이름을 딴 최초의 지구 근접 소행성이자 남성 이름의 소행성으로, NEAR 슈메이커 탐사선의 탐사 결과 땅콩 모양이며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도 있는 잠재적 위협으로 여겨진다. - 우주선이 방문한 소행성체 - 243 이다
243 이다는 1884년 발견된 소행성으로,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S형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위성 다크틸을 가지고 있다.
빌트 2 혜성 | |
---|---|
기본 정보 | |
![]() | |
발견자 | 파울 빌트 |
발견일 | 1978년 1월 6일 |
명칭 | 빌트 2 혜성 81P/빌트 1978 XI 1984 XIV 1990 XXVIII |
궤도 정보 | |
궤도 긴반지름 | 3.45 AU |
근일점 거리 | 1.592 AU |
원일점 거리 | 5.308 AU |
궤도 이심률 | 0.5384 |
공전 주기 | 6.408 년 |
궤도 경사 | 3.2394° |
목성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012 AU () |
티스랑 파라미터 | 2.879 |
최근 근일점 통과일 | 2016년 7월 20일 |
다음 근일점 통과일 | 2022년 12월 15일 |
물리적 특징 | |
핵 직경 | 4.0 km |
삼축 직경 | 5.5 km × 4.0 km × 3.3 km |
평균 밀도 | 0.38 - 0.6 g/cm³ |
절대 등급 | 8.6 (핵+코마) |
2. 발견 및 궤도
빌트 2 혜성은 1978년 1월 6일 파울 빌트가 스위스 베른 대학교 짐머발트 천문대의 구경 40cm 슈미트식 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발견했다. 이후 관측을 통해 1974년 목성에 0.2au까지 접근하여 궤도가 크게 변경된 목성족 혜성으로, 근일점은 화성 궤도 부근, 원일점은 목성 궤도 부근에 있다.
2. 1. 궤도 변화
이후 관측에서 빌트 2 혜성은 1974년에 목성에 0.2 au까지 접근하여 섭동의 영향을 받아 궤도가 바뀌었고, 공전 주기는 약 40년에서 6년 정도로 감소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빌트 2 혜성은 근일점이 화성 궤도 부근, 원일점이 목성 궤도 부근에 있는 목성족 혜성이다.과거 궤도를 조사한 결과, 빌트 2 혜성은 한때 목성 부근에서 천왕성 부근 사이를 40년 전후로 공전하는 켄타우루스족 궤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1974년 9월 9일에 목성에 0.0061 au (약 912000km)까지 접근하여 섭동을 받아 궤도가 바뀌었다. 이로 인해 근일점은 4.95 au에서 1.49 au로, 공전 주기는 43.17년에서 6.17년으로 변화하였다.
3. 물리적 성질
빌트 2 혜성 핵의 크기는 5.5km × 4km × 3.3km이다.[24] 밀도는 0.6g/cm³이며,[25] 질량은 2.3×1013 kg이다.[26] 혜성의 핵은 타원체로 간주하면 각 지름이 5.5km × 4km × 3.3km이다. 밀도는 0.38 - 0.6g/cm³이며, 이를 바탕으로 계산된 질량은 1.4 - 2.3×1013 kg이다.
4. 탐사
NASA의 스타더스트 탐사선은 1999년 2월 7일에 발사되어 2004년 1월 2일에 빌트 2 혜성 근처를 지나갔으며, 코마 표본과 성간 먼지를 채취하여 지구로 가져왔다. 스타더스트는 혜성의 근접 사진 72장을 촬영하여 혜성 표면 지형을 자세히 보여주었다. 혜성 표면은 함몰된 평평한 지형들과 2 km가 되지 않는 작은 지형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최소 10개의 기체 분출구가 활동하고 있었다.
스타더스트의 표본 회수 캡슐은 2006년 1월 15일 유타에 착륙하였다.[4] NASA는 에어로젤 수집기를 분석하고, 혜성 입자들과 성간 먼지를 분리하여 전 세계 150여 곳의 연구기관에 보냈다.
4. 1. Stardust@Home 프로젝트
NASA는 행성협회와 협력하여 스타더스트 성간 먼지 포획기(SIDC)에 포획된 입자들을 자원봉사자들이 추적하는 Stardust@Home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27] 일반인들도 온라인을 통해 참여하여 성간 먼지 수색에 기여할 수 있었다.[4]4. 2. 표본 분석 결과
2006년 분석 결과, 혜성 먼지에는 생물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질소를 포함한 다양한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었다.[28] 고유한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은 성간 먼지보다 길었다. 극히 일부의 순수 탄소 (CHON) 입자도 발견되었다.감람석, 회장석, 투휘석 등 고온에서 형성되는 결정 규산염도 상당량 발견되었다.[29] 이는 혜성의 꼬리와 항성으로부터 먼 먼지 원반에서 결정 규산염을 관찰한 결과와 같다.
2011년 4월, 애리조나 대학교 과학자들은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철과 황화 구리를 발견했는데, 이 물질들은 물이 있어야만 형성된다. 이는 혜성이 얼음을 녹일 정도로 따뜻해지지 못한다는 기존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였다. 방사성 붕괴나 다른 소행성과의 충돌로 인한 가열로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33]
2014년 8월, 과학자들은 2006년에 지구로 돌아온 스타더스트 샘플 중 성간 먼지일 가능성이 있는 표본들을 발견했다.[34][35][36][37]
5. 갤러리
6. 이름이 같은 혜성들
Wild영어의 이름을 딴 혜성은 다음과 같다.
- 116P/빌트
- 1941 빌트
- 63P/빌트
- 86P/빌트
참조
[1]
웹사이트
Comet 81P/Wild 2
https://web.archive.[...]
The Planetary Society
2008-12-16
[2]
웹사이트
Small Body Density and Porosity: New Data, New Insights
https://web.archive.[...]
Lunar and Planetary Science XXXVII
2008-12-16
[3]
문서
Using the volume of an ellipsoid of 5.5×4.0×3.3 km * a rubble pile density of 0.6 g/cm3 yields a mass (m=d*v) of 2.28
[4]
웹사이트
Scientists Confirm Comet Samples, Briefing Set Thursday
http://www.nasa.gov/[...]
NASA
2008-03-05
[5]
웹사이트
Light element isotopic compositions of cometary matter returned by the STARDUST mission
https://web.archive.[...]
2008-03-05
[6]
웹사이트
Comet from coldest spot in solar system has material from hottest place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Washington
2008-03-05
[7]
논문
The building blocks of planets within the 'terrestrial' region of protoplanetary disks
ukads.nottingham.ac.uk
2004
[8]
논문
The motion and size sorting of particles ejected from a protostellar accretion disk
elsevier.com/
1995
[9]
논문
Comparison of Comet 81P/Wild 2 Dust with Interplanetary Dust from Comets
https://www.science.[...]
2008-01-25
[10]
웹사이트
Comet Dust Reveals Unexpected Mixing of Solar System
http://newswise.com/[...]
Newswise
2008-09-18
[11]
웹사이트
Evidence for liquid water on the surface of Comet Wild-2
http://earthsky.org/[...]
2011-04-07
[12]
웹사이트
Stardust Discovers Potential Interstellar Space Particles
http://www.jpl.nasa.[...]
2014-08-14
[13]
뉴스
Specks returned from space may be alien visitors
https://web.archive.[...]
2014-08-14
[14]
논문
Seven grains of interstellar dust reveal their secrets
https://www.science.[...]
2014-08-14
[15]
논문
Evidence for interstellar origin of seven dust particles collected by the ''Stardust'' spacecraft
https://figshare.com[...]
2014-08-15
[16]
웹사이트
81P past, present and future orbital elements
http://jcometobs.web[...]
FC2
2005-04-13
[17]
웹사이트
81P/Wild 2 (NK 1861)
http://www.oaa.gr.jp[...]
OAA Computing and Minor Planet Sections
2010-02-24
[18]
논문
Comet Wild (1978b)
1978
[19]
웹사이트
81P/Wild 2
https://web.archive.[...]
2008-10-23
[20]
웹사이트
81P/Wild Orbit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7-02-26
[21]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81P/Wild 2
http://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2]
웹사이트
Horizons Batch for 81P/Wild 2 (90000856) on 2029-May-14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3-07-06
[23]
웹사이트
Comet 81P/Wild 2 [1978] (SAO/1978)
http://ssd.jpl.nasa.[...]
2017-02-26
[24]
웹인용
Comet 81P/Wild 2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8-12-16
[25]
웹인용
Small Body Density and Porosity: New Data, New Insights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Science XXXVII
2008-12-16
[26]
문서
면적을 이용하여 구한 부피 × 밀도 0.6 g/cm³를 통하여 (질량=부피×밀도) 2.28{{e|13}} kg이라는 질량값을 찾아낼 수 있다.
[27]
웹인용
Scientists Confirm Comet Samples, Briefing Set Thursday
http://www.nasa.gov/[...]
NASA
2008-03-05
[28]
웹인용
Light element isotopic compositions of cometary matter returned by the STARDUST mission
https://e-reports-ex[...]
2008-03-05
[29]
웹인용
Comet from coldest spot in solar system has material from hottest places
http://www.uwnews.or[...]
University of Washington
2008-03-05
[30]
논문
The building blocks of planets within the 'terrestrial' region of protoplanetary disks
http://adsabs.harvar[...]
ukads.nottingham.ac.uk
2008-03-05
[31]
논문
The motion and size sorting of particles ejected from a protostellar accretion disk
http://adsabs.harvar[...]
elsevier.com/
2011-04-12
[32]
웹인용
Comet Dust Reveals Unexpected Mixing of Solar System
http://newswise.com/[...]
Newswise
2008-09-18
[33]
웹인용
Evidence for liquid water on the surface of Comet Wild-2
http://earthsky.org/[...]
2011-04-07
[34]
웹인용
Stardust Discovers Potential Interstellar Space Particles
http://www.jpl.nasa.[...]
2014-08-14
[35]
뉴스
Specks returned from space may be alien visitors
http://apnews.excite[...]
2014-08-14
[36]
저널
Seven grains of interstellar dust reveal their secrets
http://news.sciencem[...]
2014-08-14
[37]
저널
Evidence for interstellar origin of seven dust particles collected by the Stardust spacecraft
http://www.sciencema[...]
2014-08-15
[38]
웹인용
81P/Wild Orbit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7-02-26
[39]
저널
Comet Wild (1978b)
1978
[40]
웹인용
81P/Wild 2
http://cometography.[...]
2008-10-23
[41]
웹인용
Comet 81P/Wild 2 [1978] (SAO/1978)
http://ssd.jpl.nasa.[...]
2017-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